

한국광복군
1940년 9월 17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군 한국광복군은 중국 충칭에서 창설되었다.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큰 업적이다. 임시정부는 수립 초기부터 군대를 편성하여 독립전쟁을 수행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중국 영토에서 활동해야 하는 제약하에서도 광복군은 병력을 모집하고 적극적인 선전활동을 통해 국제적 여론을 끌어내고 국내외 동포들에게는 광복군의 활동과 한국 독립운동의 당위성을 널리 알렸다. 국제적으로도 연합군의 대일전 쟁에 참여하기 위해 광복군은 인도·버마 전선에 공작대를 파견하여 영국군과 함께 대일작전을 수행하였다. 또한 미국 전략첩보국OSS과 합작하여 특수훈련을 받은 광복군 대원들을 국내에 침투시켜 대일전쟁을 수행하는 한미 공동작전을 전개하였다.
적극적으로 병력을 모집하여 창설 당시 수십 명에 불과하던 광복군은 1945년 8월 전후 약 7~800여 명의 병력을 보유하기에 이르렀다.
광복군은 선전활동을 중시하였다. 광복군의 창설 사실과 존재를 알리고 광복군이 국제적인 지위를 얻고 연합군의 일원으로 대일전쟁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선전활동이 대단히 중요하였다.


또한 적 점령 지역 내에 있는 동포들에게 광복군에의 참여와 지원을 위해 선전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와 함께 국제적 여론을 환기시키기 위한 선전활동을 전개하였다.
아울러 충칭 방송국을 통해 광복군에 대한 국내외 동포들의 참여와 지원을 촉구하였다. 즉 3·1절이나 광복군 창설 기념일, 기타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 기념선언문과 성명서를 발표하고 방송을 통해 널리 알렸다. 그 밖에도 기관지 『광복』을 발행하여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 독립운동의 당위성을 널리 알리기도 하였다. 기관지는 한국어본과 중국어본 두 종류를 발간하였다. 한국어본은 국내외 동포 중 적 후방에 거주하는 한인을 대상으로 삼았다. 반면 중국어본은 행정·군사·언론 기관 등이 주요 대상이었다.

또한, 광복군에는 여성도 참여하였다. 여성 대원들의 활동은 크게 병력모집활동, 선전활동, 구호활동으로 구분된다.
여성병력모집활동을 위해 징모분처 5개소를 설치하고, 짧은 기간에 약 20명을 모집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들은 일본군 포로들을 심문하여 적의 정보를 수집하기도 했다.
선전활동에도 중점을 두었다. 이는 광복군이 창설된 사실과 활동상을 대내외에 알리는 동시에 국내외 동포들의 참여와 지원을 촉구하기 위함이었다. 일본군 점령 지역에 거주하는 동포들과 일본군에 있는 한인 사병들을 대상으로 선정활동도 하였다. 일본군의 사기를 저하하는 선전활동도 병행되었다. 선전은 한국어·중국어·일본어 등으로 된 전단과 벽보를 만들어 살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여성 대원들은 원고 의뢰와 작성·번역, 발송하는 일을 맡았고 직접 자신의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오광심은 “한국 여성 동지들에게 일언一言을 들림”, 지복영은 “대시대는 왔다, 한국여성동지들아 활약하자”를 통하여 여성들의 분발을 촉구하였다.
방송을 통한 선전활동에도 여성 대원의 활약은 두드러졌다. 충칭의 국제 방송국에서 김정숙은 원고를 작성했고 신순호·지복영·민영주 등은 낭랑한 어조로 방송했다. 이와 더불어 연극공연과 음악회도 병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