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image.png

류저우 임시정부

​낙군사.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유저우에서 활동할 당시 사용했던 장소로 추정되는 곳

류저우대한민국임시정부항일투쟁활동진열관(낙군사) (1).jpg

​류저우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광저우에 머문 지 3개월 만인 1938년 10월 류저우로 피난을 떠났다. 일본군이 포산 근처까지 진격해오자 다시 피난을 떠났다. 광저우 시내와 포산에 머물고 있던 임시정부와 가족들은 포산역에 집결한 뒤 산수웨이로 집결하였다. 

류저우대한민국임시정부항일투쟁활동진열관(낙군사) (7).jpg

류저우 대한민국 임시정부 항일투쟁활동진열관

   임시정부는 11월 30일 류저우에 도착하였다. 임시정부 요인과 가족들은 유저우에서 6개월간 머물렀다. 

 

 기록에 의하면 임시정부 요인들은 “江北 潭中路 50호에 있는 3층 양옥집"에 머물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류저우시에는 양옥이 2~3채밖에 되지 않았고, 그중 하나가 낙군사(樂群社)였다.

 

 낙군사는 1920년대 말 러시아가 세운 프랑스식 건물이었다. 최초 버스터미널로 사용되었다가 1935년터 명칭을 '낙군사'로 개명하고 여관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낙군사는 여관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임시정부 요인들이 머물렀을 가능성이 크다. 

  2004년 대한민국임시정부 항일투쟁활동진열관이 류저우시 낙군사 건물에 개관되었다. 류저우시는 1928년 건축된 낙군사를 임시정부 청사로 주장하고 2001년 낙군사 건물을 매입하여 복원하였다. 

 

류저우 진열관 내부.JPG
IMG_0755(로고추가).JPG

 대한민국 임시정부항일투쟁활동진열관 1층은 영상실과 당시 사무실과 침실을 재현해 놓았고, 2층은 임시정부와 관련된 내용이 전시되어 있다. 
 임시정부가 류저우에서 활동했던 사실을 기념하는 전시관으로 의미와 상징성을 부여하는데 의미가 있다.

독립공채_위키백과.jpg

MISSION. 독립운동자금을 획득하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류저우로 거처를 옮겨 활동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은 무엇인가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