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스크린샷 2025-05-17 201742.png
다운로드.jpg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당시 독립운동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1919년에 제작된 이 자료는 축하문 1점과 선언서 1점 등 1건 2점으로, 소유자는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는 제2차 독립시위운동을 촉구하고자 대한민족대표 30인의 이름으로 1919년 10월 31일 발행된 활판 인쇄 전단지다.

 

 특히 3·1 만세운동 이후 상하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같은 해 9월 국내의 한성정부, 연해주의 대한국민의회와 통합되어 대한민국임시정부로 출범한 것을 기념하기 위함이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성립 축하문_국가유산청.jpg

​임시정부 성립 축하문

임시정부 선언서_국가유산청.jpg

​임시정부 선언서

 또한 당시 다이쇼 일왕의 생일을 기념하는 행사가 개최된 10월 31일에 맞춰 해당 문서들을 발표해 3·1운동과 같은 전국적 시위운동을 다시 한번 전개해 일제에 저항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국내 곳곳에서 대규모 만세시위가 일어나는 등 초기 임시정부 독립운동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이 문서는 그동안 문헌을 통해서만 그 존재가 알려져 있었으나, 1967년 김양선 교수가 숭실대학교에 기증하면서 유일한 실물 전단 형식의 문건이 알려졌다.

 

 이 문서들은 3·1운동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당시의 독립운동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보존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독립공채_위키백과.jpg

MISSION. 독립운동자금을 획득하라. 

임시정부와 관련하여 ​국가유산으로 등록된 것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