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스크린샷 2024-05-12 182408.png

​구글어스

image.png

임시의정원

국회에 걸린 임시의정원 태극기

image.png

임시의정원

 임시정부를 수립하면서 입법기관으로 임시의정원을 세운 것으로 임시의정원은 임시정부의 산실이다.

설립배경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의 한일 합방 조약이 있은 후 한국의 독립 운동가들은 각 지역에 산재된 임시정부를 한데 모아 일본 제국의 주권 침탈 행위에 대항하는 조직을 마련하고자 노력해왔다.

 

 그 결과 통합 임시정부 설치 및 국민 대표자 선출을 목적으로 의회 구성을 계획하게 되었다. 

 

 1919년 4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설립하기 위한 국민 대표자를 각 도별로 무기명투표로 선출,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이 수립되게 된 것이다.

임시의정원_독립기념관.png
임시의정원 신년축하_독립기념관.png

 1919년 4월 11일 제1회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에서는 초대 의장에 이동녕, 부의장에 손정도를 선출하였으며 국호를 대한민국이라고 의결하였다.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인 대한민국 임시 헌장을 채택하여 공포함으로써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법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9월 11일에는 기존의 임시 헌장을 대폭 개정하여 대한민국 임시 헌법(大韓民國臨時憲法)을 공포했다.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요인 신년 축하식

임시의정원 문서_국가유산청.png

임시의정원 문서-국가유산청

임시의정원 운영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법부 기능을 수행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제출하는 예산에 대한 심의 및 의결을 담당하였고 선전강화조약 체결 등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독립운동가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여 광복 투쟁에 대한 인적 양성을 도모하였다.

 임시의정원 역사적 의의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역사상 처음으로 주권재민, 3권 분립의 민주정 원칙에 입각한 민주공화정제를 채택해 헌법에 반영하였다. 이는 국가의 권력을 군주에서 국민으로 옮긴 것이다.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이 마련한 민주주의의 토대로 의미가 깊다.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인_국가유산청.jpg

임시의정원인-국가유산청

독립공채_위키백과.jpg

MISSION. 독립운동자금을 획득하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법부의 기능을 수행한 기관은 무엇인가요?

bottom of page